본문 바로가기
IT지식

데이터 타입과 변수에 대해서 알아 봅시다

by 돈.버.자 2023. 3. 9.
반응형

 

데이터 타입(Data Type)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되는 값들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변수(Variable)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변수에는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과 변수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숫자(Number) - 정수(int), 실수(float), 복소수(complex) 등
2. 문자열(String) -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의 집합입니다.
3. 불리언(Boolean) - True, False 두 개의 값을 가지며, 조건문 등에서 사용됩니다.
4. 리스트(List) - 대괄호([])로 둘러싸인 값의 목록입니다. 값은 쉼표로 구분됩니다.
5. 튜플(Tuple) - 괄호()로 둘러싸인 값의 목록입니다. 값은 쉼표로 구분됩니다.
6. 세트(Set) - 중복되지 않는 값을 가지며, 중괄호({})로 둘러싸인 값의 목록입니다.
7. 딕셔너리(Dictionary) - 중괄호({})로 둘러싸인 키(key)와 값(value)의 쌍(pair)의 목록입니다.

 

이제 각 데이터 타입에 해당하는 변수를 만들어보겠습니다.

 

# 정수 변수 만들기

num1 = 10
num2 = 20

 

# 실수 변수 만들기

float1 = 3.14
float2 = 4.5

 

# 문자열 변수 만들기

str1 = "Hello, World!"
str2 = "Python is awesome!"

 

# 불리언 변수 만들기

bool1 = True
bool2 = False

 

# 리스트 변수 만들기

list1 = [1, 2, 3, 4, 5]
list2 = ["apple", "banana", "orange"]

 

# 튜플 변수 만들기

tuple1 = (1, 2, 3)
tuple2 = ("apple", "banana", "orange")

 

# 세트 변수 만들기

set1 = {1, 2, 3, 4, 5}
set2 = {"apple", "banana", "orange"}

 

# 딕셔너리 변수 만들기

dict1 = {"name": "John", "age": 30, "city": "New York"}
dict2 = {"brand": "Samsung", "model": "Galaxy", "year": 2021}

 

변수를 만들 때 데이터 타입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파이썬은 변수에 할당된 값의 데이터 타입을 자동으로 인식하며, 이를 동적 타이핑(Dynamic Typing)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정수와 실수를 혼합하여 연산하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데이터 타입을 변환하여 계산합니다.

 

# 자동 형변환 예시

num1 = 10
float1 = 3.14
result = num1 + float1
print(result) # 13.14 출력

 

이처럼 파이썬에서는 데이터 타입과 변수를 유연하게 다룰 수 있습니다.

 

 

 

오늘은 코딩의 필수 요소인 데이터 타입과 변수를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예로 설명하였습니다.

 

데이터 타입에 맞게 변수를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연습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코딩할 때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해지며, 응용력이 생기면 폭넓은 사고를 통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연산자와 표현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두 즐코딩요 ^^

 

 

반응형

최근댓글

최근글

skin by © 2024 ttuttak